그리드 GRID
ex) grid 파일 만들고 NAVIGATIO ARTICLE 입력
<div>는 무색 무취의 태그, division의 약자(분할,분배)
<div>NAVIGATION</div>
<div>ARTICLE</div>
용도가 없고 디자인의 용도로만 쓰는 태그
Block level element기에 화면 전체 사용 >>>줄바꿈 되어버림
같은 목적의 태그로는 <span>이 있음, 인라인 엘리먼트
그리드를 위해서는 부피를 먼저 알아보기
<style>
div{
border: 5px solid gray;
}
두개의 태그 감싸는 부모 태그 필요
<div>
<div>NAVIGATION</div>
<div>ARTICLE</div>
</div>
부모 태그에 아이디 주기
<div id= "grid"> id값은 아무거나 해도 됨
<div>NAVIGATION</div>
<div>ARTICLE</div>
</div>
아이디로 CSS 속성 주기
#grid{
border: 5px solid pink;
display: grid; 태그가 표시되는 방법을 바꾸는 속성-grid로
grid-template-columns: 150px 1fr; fr 자동조절됨
}
그리드 할 것을 <div></div>로 묶고
위에 <ol>태그들을 하나의 그룹으로 묶어서 요소로 사용
▶부모 태그 필요, <div></div>로 공통 묶기
▶div id= "grid"
▶#grid{
display: grid;
grid-template-columns: 150px 1fr;
}
검사로 가서 이 부분 간격 움직여보고 괜찮아 보이는 정도의 부분의 크기 확인
ol{
padding-left: 33px;
}
바꾸면 옆이 밀림, 또 옆쪽도 바꿔주기
<div id= "article"> div id 부여하고
#article{
padding-left: 25px;
}
<ol>이 네비게이션 역할로 쓰이고 있는데
<ol>이 네비게이션이 아니라 본문에도 목록있는 리스트가 포함될 수 있기에
grid라는 id값의 태그 밑에 있는 <ol>이라 해줘야 함
★ #grid id 라고 표기
article은 id값을 썼기에 묶을 필요는 없지만
분명한 의미를 전달하기 위해 써줘도 됨.
saw와 active 다음 예제 시 필요 없으므로 삭제
★ www.coniuse.com
현재 웹 브라우저 얼마나 그 기술을 채택하고 있는가
통계를 보여주는 서비스 사이트
초록색이면 가능, 빨강 동작x. 연한 초록 부분지원
global 96.47%면 전세계의 96.47%가 사용가능. 아주 유용한 사이트!!
미디어 쿼리 소개
화면의 크기에 따라서 웹 페이지 각 요소들이 반응해서
최적화된 모양으로 바뀌게 하는 것
=반응형 웹, Responsive Web
화면 크기 8000픽셀보다 크냐, 작으냐에 따라
<div>태그를 보이게, 안 보이게 하고 싶다고 한다면
일단 화면의 크기를 먼저 알아야 한다.
▶구글 개발자도구 검사 누르면
오른쪽 상단 주소창 아래에 화면크기 표시됨
화면의 크기가 800픽셀보다 크면 보이지 않게 하기
screen width > 800px
div{
display:none;
}
800px보다 크면 <div>디스플레이 none
=
@media(min-width: 800px)
div{
display: none;
}
화면의 크기가 800픽셀보다 크다는 것은
화면의 크기가 최소한 800픽셀이다는 것을 의미
@media(max-width: 800px)
최대값 max 800px로 하면 스크린 폭이 800픽셀보다 작다라는 것
★미디어 쿼리를 이용하면 화면의 크기, 스마트폰 사용할 때
가로모드, 세로모드와 같은 여러가지 화면의 특성에 따라
어떤 조건을 만족할때만 css 내용이 동작하도록 할 수 있음
ex) 800픽셀 기준으로 <style>태그에
screen width<800px (스크린폭 800픽셀보다 작을 때)
@media(max-width: 800px)
#grid 카피해서 display 부분을 block으로 변경
display: block;
선없애기: #ol 카피해서
border-right: none;
h1태그 밑 선도 없앰: h1 카피
border-bottom: none;
★중복의 제거
<style>을 복사해서 다른 페이지에 만든 페이지를 전파
만약 오류가 나고 모양이 다른 거 같다 할 때
파일에 오른쪽 마우스 클릭 - Split Right (화면 옆에 화면 두고 비교할 수 있음)
이렇게 일일이 하면 파일이 어마어마하게 많을 때
유지보수가 너무 어려움.
▶CSS코드 별도 파일 만들어서 활용하기
1. CSS코드만 복사해서 style.css 파일을 생성하고 거기에 붙여넣기
<style></style>태그를 지워낸 <style>안의 코드만 복사해서 붙여넣기
2. 원래 사용하고 있던 각 페이지에 <style>태그 지우기
3. <Link>를 이용해서 웹브라우저한테 명령
<link rel= "stylesheet" href= style.css">
저 링크를 넣으면 웹페이지는 style.css 파일과 link(연결)되어있고,
웹브라우저는 style.css 파일 다운받아서 웹페이지에 적용하게 됨.
각 페이지에 있는 긴 <style>코드를 저 한 줄로 모두 변경.
장점: 재사용성이 높아지고 내부적 코딩 원리 몰라도 사용 가능,
1억,100억개든 이걸로 동시에 바꿀 수 있기에 유지보수 하기 좋음
다운로드 인터넷 사용료 줄어든다.
* 검사-개발자도구-네트워크 클릭
보고 있는 파일 리로드시 내부적으로 어떤 파일들을
웹서버에서 다운로드 받는지 보여주는 기능
* 웹 페이지 안 CSS코드 내장하는 것이 네트워크 측면에서 더 효율적임
적은 트래픽 사용
하지만 캐싱 떄문에 그렇지 않음
*캐싱(저장하다)
한번 파일을 다운로드 받았다면 파일이 바뀌기 전까지
웹브라우저는 파일을 우리 컴퓨터에 저장해놨다가
다음에 요청하면 저장된 결과를 가져와 보여준다.
네트워크를 쓰지 않아 속도를 높일 수 있고 사업자들은 돈을 덜 쓸 수 있다.
'02_STUDY > CSS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생활코딩 WEB2 - CSS ① 기초 정리 (0) | 2023.04.11 |
---|---|
스크롤 설정하기 - overflow (0) | 2023.02.11 |
CSS 변수 사용하기 (0) | 2023.02.11 |